2013년 8월 18일 일요일

경희대한의대 취업정보 남양중의대


경희대한의대 취업정보 남양중의대

어깨통증의 주된 원인, 회전근개파열

  

 

입학문의- 클릭하여 자세히 기록하여 제출해 주세요

www.hani.tv

 

태블릿PC나, 랩탑, 노트북 등의 이용이 급증하면서 어깨통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잘못된 자세는 목 어깨 주변에 긴장시켜 힘줄이나 인대, 근육에서 섬유화를 진행시켜 탄력이 떨어진다. 섬유화가 심해지면 어깨통증이 심해지고, 회전근개가 파열되기에 이른다.

어깨 근육의 바깥쪽에는 삼각근이 위치한다. 삼각근은 회전근개에 비해 20~30배정도 크며, 무거운 물건을 들 때, 골프, 테니스 등 큰 힘을 발휘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삼각근 아래쪽에는 회전근개라는 네 개의 힘줄이 있다. 이 힘줄은 네 개의 힘줄이 서로 유기적으로 움직이며 팔을 앞ㆍ옆ㆍ뒤 그리고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사용한다고 해서 회전근개라고 부른다.

회전근개는 일상에서 칫솔질, 옷입기, 식사하기 등 가벼운 움직임이 있을 때 가장 많이 쓰이게 된다. 이처럼 회전근개는 하루 1만~2만 번 쉴 새 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자그마한 손상이 생겼더라도 자연치유가 잘 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힘줄은 오랜 시간 긴장하게 되면 탄력이 떨어지면서 섬유화가 진행된다. 섬유화된 힘줄은 또 다시 오랜 시간에 걸쳐 닳아서 떨어지게 된다.

그 과정을 보면 수년 간 누적된 긴장과 스트레스로 인해 어깨관절 주변 혈액순환이 저하된다. 이후 어혈(노폐물, 염증삼출물, 지방 등)로 인한 회전근개의 섬유화가 이뤄지게 된다.

회전근개파열 치료의 핵심은 '섬유화 해결'에 있다.  얇아진 힘줄을 두꺼워지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남아있는 힘줄의 기능을 살려서 더 이상 힘줄이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어 "어깨질환은 그냥 방치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은 심해질 뿐"이라며 "조기에 치료하면 완치될 수 있으므로 어깨질환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자연의학


물리치료사
NCCA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