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입학 대학편입 한의대입학
매실·맥문동·갈근·사삼 등 구강건조증 완화에 탁월
언제나 일정량의 수분이 유지되는 우리 몸은 건조한 기후가 되면 눈이나 피부 등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곤 한다. 하지만 눈이나 피부에 비해 관심이 덜한 구강에도 건조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구강건조증’이라 한다.
구강건조증은 타액 분비량이 정상 이하인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주관적 불편감으로 주로 50세 이상에서 나타난다.
이는 ▲빈혈 ▲탈수 ▲약물 ▲주 타액선의 감염 ▲신장 및 호르몬 장애 ▲침샘에 생기는 돌(타석) 등의 일시적인 원인과 ▲타액선 실질의 대체나 파괴 ▲연령증가의 변화 ▲만성 신질환 ▲쉐그렌 증후군 ▲만성 스트레스 ▲방사선 치료 등의 영구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또한 ▲진정제 ▲항우울제 ▲항히스타민 ▲항고혈압 제재 등의 약물과 환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서도 야기될 수 있고 ▲갑상선 기능항진증 ▲악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비타민 결핍 등 전신질환 때문에 발병하기도 한다.
구강건조증에 걸리면 미각기능이 감소되고 음식물의 씹는 기능과 삼키는 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며 타액 내에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여러 물질과 면역 단백질이 결핍된다. 또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혀의 돌기는 없어지고 입술이 갈라지며 침 속의 석회화시키는 작용이 감소되고 치근면 부위에 특징적으로 충치가 증가한다.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수분섭취 증가, 무설탕 껌 씹기, 레몬향 음료 복용, 분무제, 가글제, 인공타액 사용, 부교감 신경 자극 약물 등이 있으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타액보충을 위한 다양한 음식이 소개돼 있다.
경희대병원 한방소화기내과 김진성 교수는 “한방에서 타액은 우리 몸 내부의 수분성분(진액)의 대표적인 역할을 한다”며 “동의보감에 소개된 음식으로는 매실, 맥문동, 갈근(칡뿌리), 사삼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덜 익은 매실을 따서 매실청을 담거나 설탕에 재어 매실액을 차처럼 섭취하기도 하나 한약으로는 연기에 그을려 까맣게 만든 오매를 사용하는데 직접적으로 입이 마르는 증상을 완화시켜준다”고 덧붙였다.
언제나 일정량의 수분이 유지되는 우리 몸은 건조한 기후가 되면 눈이나 피부 등에 이상 증상이 나타나곤 한다. 하지만 눈이나 피부에 비해 관심이 덜한 구강에도 건조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를 ‘구강건조증’이라 한다.
구강건조증은 타액 분비량이 정상 이하인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주관적 불편감으로 주로 50세 이상에서 나타난다.
이는 ▲빈혈 ▲탈수 ▲약물 ▲주 타액선의 감염 ▲신장 및 호르몬 장애 ▲침샘에 생기는 돌(타석) 등의 일시적인 원인과 ▲타액선 실질의 대체나 파괴 ▲연령증가의 변화 ▲만성 신질환 ▲쉐그렌 증후군 ▲만성 스트레스 ▲방사선 치료 등의 영구적인 원인으로 발생한다.
또한 ▲진정제 ▲항우울제 ▲항히스타민 ▲항고혈압 제재 등의 약물과 환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서도 야기될 수 있고 ▲갑상선 기능항진증 ▲악성 빈혈 ▲다발성 경화증 ▲비타민 결핍 등 전신질환 때문에 발병하기도 한다.
구강건조증에 걸리면 미각기능이 감소되고 음식물의 씹는 기능과 삼키는 기능에 장애가 나타나며 타액 내에서 항균 작용을 나타내는 여러 물질과 면역 단백질이 결핍된다. 또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혀의 돌기는 없어지고 입술이 갈라지며 침 속의 석회화시키는 작용이 감소되고 치근면 부위에 특징적으로 충치가 증가한다.
일반적인 치료법으로는 수분섭취 증가, 무설탕 껌 씹기, 레몬향 음료 복용, 분무제, 가글제, 인공타액 사용, 부교감 신경 자극 약물 등이 있으며 동의보감에 따르면 타액보충을 위한 다양한 음식이 소개돼 있다.
경희대병원 한방소화기내과 김진성 교수는 “한방에서 타액은 우리 몸 내부의 수분성분(진액)의 대표적인 역할을 한다”며 “동의보감에 소개된 음식으로는 매실, 맥문동, 갈근(칡뿌리), 사삼 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덜 익은 매실을 따서 매실청을 담거나 설탕에 재어 매실액을 차처럼 섭취하기도 하나 한약으로는 연기에 그을려 까맣게 만든 오매를 사용하는데 직접적으로 입이 마르는 증상을 완화시켜준다”고 덧붙였다.

물리치료사

우석대한의대

한의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