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비염의 치료와 관리
입학문의- 클릭하여 자세히 기록하여 제출해 주세요
www.hani.tv
"비염"이란 '콧속에 있는 점막에 염증성 병변이 발생하여 콧물, 재채기, 가려움, 코막힘 중 한가지 이상의 증상을 동반하는 질환'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한마디로 코에 나타나는 모든 증상을 비염이라고 부를 수 있다. 코 안 점막이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어 나타나는 코감기를 급성비염이라고 말한다.
만성비염은 감염성(예:부비동염), 비감염성(예:구조적인 변형, 종양, 약물반응)으로 나뉘는데 원인에 관계없이 대개 증상의 정도 차이만 있을 뿐 임상적으로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만성비염을 종류별로 나눠보면 비후성 비염, 혈관운동성 비염,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성 비염, 위축성 비염 등이 있다.
비후성 비염은 코안 점막이 심하게 붓거나 코뼈로 불리는 비중격이 심하게 휘어 코가 막히는 증상위주의 비염이다. 양방에서는 뿌리는 스테로이드제를 쓰거나 코안 점막을 잘라내거나 화상을 입히는 수술, 코뼈를 다시 맞추는 수술을 주로 사용하는데 재발의 가능성이 높다.
혈관운동성 비염은 코막힘과 콧물을 보이며 부비동입구가 막혀 두통, 묵직한 느낌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알레르기 유발검사에 적용되지 않는 특이한 자극에 반응하는 경우 혈관운동성 비염이라고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을 보이는 대표적인 만성비염이다. 약물성 비염은 양약 남용으로 인한 부작용으로 오히려 코 안이 붓는 것을 말한다. 위축성 비염은 코안 점막사진을 보면 숨쉬기 편해야 하는데 환자는 코막힘을 호소하면서 찐득한 콧물, 코딱지, 코 건조감, 악취느낌을 호소하는 질환으로 원인불명으로 보고 있다.
이상이 양방 이비인후과 교과서에 나오는 만성비염에 대한 설명이다.
지금부터는 한의학에서 보는 만성비염의 치료와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다.
축농증이라 불리는 부비동염(누런 콧물동반)은 일시적으로 肺(폐)에 열이 떠서 발생한 것으로 폐의 열을 내리는 한약으로 다스린다. 열이 떴다고 온 몸을 차게 해서는 면역력이 떨어져 더 악화된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폐기운이 저하되고 차가워져서 발생하므로 폐를 따뜻하게 데우는 한약을 쓴다. 차가운 음식, 찬바람과 밀가루 음식을 피하는게 좋다.
위축성비염은 대개 20대의 여성층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는데 섬세한 성격과 심한 스트레스가 원인으로 본다. 몸 전체의 진액과 血(혈,피)을 보충하는 한약으로 다스린다.
비후성 비염은 熱(열)로 인한 것도 있고 寒(한), 기혈운행의 정체로 발생하기도 하는데 그 원인에 따라 달리 치료를 해야 한다.
생활에서 비염에 도움이 되는 것은 반신욕, 족욕, 깨끗한 공간에서 적당한 운동하기, 적정한 실내 온도와 습도 유지하기, 찬음식과 찬바람 피하기, 과로하지 않기 등이다. 거의 모든 비염 예방과 호전에 도움이 된다. 단, 위축성 비염의 경우엔 땀을 많이 내지 않는 것이 좋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